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게임 이론을 활용한 경쟁 전략: 경제학적 관점에서의 마케팅 접근

by 말미차 2025. 3. 8.
반응형

서론: 게임 이론이 마케팅 전략에 미치는 영향

오늘날의 기업 환경은 복잡하고 치열한 경쟁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단순히 좋은 제품을 개발하는 것만으로는 성공을 보장할 수 없으며, 경쟁사들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그에 맞춰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학에서 발전한 게임 이론(Game Theory) 은 기업이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게임 이론은 상대방이 어떤 선택을 할지 예측하고, 이에 따라 최선의 대응 전략을 선택하는 학문이다. 특히, 시장에서 기업들이 어떻게 경쟁하고 협력할지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개념으로는 내쉬 균형(Nash Equilibrium), 베르뜨랑 경쟁(Bertrand Competition), 쿠르노 경쟁(Cournot Competition) 등이 있으며, 이를 활용하면 기업은 최적의 가격 정책과 생산량 조절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게임 이론을 바탕으로 경쟁 시장에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고,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본다.

1. 내쉬 균형(Nash Equilibrium)과 마케팅 전략

내쉬 균형은 경쟁 기업들이 각자의 최적 전략을 선택한 상태에서, 어느 누구도 일방적으로 전략을 바꿔 이득을 볼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상대방의 선택을 고려했을 때, 각 기업이 추가적인 변화 없이 최적의 선택을 유지하는 상황이다.

1.1 내쉬 균형과 가격 경쟁

예를 들어 두 개의 경쟁 기업이 동일한 제품을 판매한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경쟁사가 가격을 낮추면, 우리 기업도 가격을 낮추지 않으면 시장 점유율을 잃을 위험이 있다. 반면, 가격을 유지한다고 해서 반드시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다.

이때, 내쉬 균형이 성립하는 지점을 찾기 위해 두 기업의 전략을 분석할 수 있다.

  • 경쟁사가 가격을 낮출 경우, 우리도 가격을 낮춰야 할지 분석
  • 가격을 유지했을 때의 이익과 가격을 낮췄을 때의 이익을 비교
  • 소비자의 가격 민감도와 브랜드 충성도를 고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최적의 가격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기업이 가격을 무작정 낮추기보다는, 경쟁사의 반응을 고려해 내쉬 균형이 형성되는 지점을 찾아야 한다.

1.2 마케팅에서 내쉬 균형 활용

내쉬 균형을 마케팅 전략에 활용하려면, 기업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1. 광고 전략: 경쟁사가 광고비를 늘릴 경우, 우리도 광고비를 늘릴 필요가 있는가?
  2. 신제품 출시: 경쟁사가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면, 우리도 반드시 대응해야 하는가?
  3. 고객 서비스 강화: 경쟁사가 고객 서비스에 집중한다면, 우리도 같은 전략을 채택해야 하는가?

이러한 의사결정에서 경쟁사의 행동을 예측하고, 우리의 최적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베르뜨랑 경쟁(Bertrand Competition): 가격 경쟁의 한계와 전략적 대응

베르뜨랑 경쟁 모델은 두 기업이 동일한 제품을 판매할 때, 가격 경쟁이 발생할 경우 결국 가격이 한계비용까지 낮아진다는 이론이다.

2.1 가격 인하 경쟁의 위험성

베르뜨랑 경쟁에 따르면,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는 기업이 존재하면, 가격을 조금이라도 낮춘 기업이 모든 시장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쟁 기업들은 계속해서 가격을 낮추게 되고, 결국 이윤이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다음과 같은 시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항공사 산업 (LCC 항공사 간 가격 경쟁)
  • 전자상거래 (온라인 쇼핑몰 간 할인 경쟁)
  • 모바일 통신 시장 (이통사 간 요금제 경쟁)

이처럼 가격 경쟁이 극단적으로 진행될 경우, 기업은 지속 가능한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워진다.

2.2 베르뜨랑 경쟁을 피하는 전략

기업이 베르뜨랑 경쟁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비가격 경쟁 요소를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1. 브랜드 차별화: 고객이 단순히 가격이 아니라 브랜드 가치를 보고 제품을 선택하도록 유도
  2. 제품 차별화: 기능, 디자인, 서비스 등에서 차별성을 부여하여 가격 이외의 경쟁 요소 확보
  3. 충성 고객 확보: 멤버십 프로그램, 고객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임

이러한 전략을 통해, 기업은 단순한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3. 쿠르노 경쟁(Cournot Competition): 생산량 조절을 통한 시장 점유율 확보

쿠르노 경쟁은 기업들이 가격이 아니라 생산량을 조절함으로써 시장에서 경쟁하는 모델이다. 즉, 기업이 자사 생산량을 조절하면, 경쟁 기업도 이에 맞춰 생산량을 조절하는 형태로 시장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3.1 생산량 조절의 중요성

예를 들어, 두 기업이 동일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 만약 우리 기업이 생산량을 늘리면, 시장에 공급이 증가하여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 반대로 생산량을 줄이면, 가격이 상승할 수 있지만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위험이 있다.

기업은 이러한 균형점을 찾아야 하며, 경쟁사가 설정한 생산량을 고려하여 최적의 생산량을 결정해야 한다.

3.2 쿠르노 경쟁을 활용한 전략

쿠르노 경쟁 모델을 활용하면, 기업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1. 적절한 생산량 조절: 시장 수요를 분석하고, 최적의 생산량을 유지하여 가격 안정화
  2. 경쟁사의 생산 패턴 분석: 경쟁사가 생산량을 늘릴 경우, 우리의 대응 전략 설정
  3.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 확보: 단기적인 수익보다 장기적인 시장 점유율을 고려한 생산 전략 수립

이를 통해, 기업은 가격 경쟁이 아닌 효율적인 생산 전략을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결론: 게임 이론을 통한 최적의 마케팅 전략

게임 이론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은 기업이 경쟁사의 행동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최적의 대응을 찾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내쉬 균형을 통해 최적의 가격, 광고, 제품 출시 전략을 결정
  • 베르뜨랑 경쟁을 피하고 비가격 경쟁 요소를 강화
  • 쿠르노 경쟁을 활용하여 생산량을 조절하고 시장 점유율을 확보

기업이 단순히 가격 경쟁에 휘말리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장기적인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게임 이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현대 마케팅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반응형